1. 유가전쟁 그 후
2. 강원산불 그 후
3. 코로나19 미국 선거 영향
계속 떨어지고 있는 기름값. 혹시 ‘차 기름값 좀 아낄 수 있으려나’ 하며 살짝 입꼬리 올라갔다면, 잠시만요! 상황이 심상치 않아 보인대요.
지난 3월 이야기: 기름값 조정하자던 미국 vs. 싼값 먼저 못 버티는 사람이 지는 거라던 사우디아라비아&러시아. 세 나라 사이에 석유 공급량을 줄이자던 합의가 엎어졌었죠. 그 후 석유 공급은 계속 늘고, 코로나19로 석유 소비는 계속 줄며 기름값은 쭉쭉 떨어졌어요.
근데 기름값 떨어지는 게 왜 걱정인 거야?
기름값이 떨어지면, 석유와 관련있는 모든 물건값(사실상 전체 물가)이 덩달아 싸질 수 있어요.
물가가 떨어지면 (🦔 고슴이 ver.): 밀웜 하나에 원래 1000원이었는데, 계속 싸지고 있슴! 그럼 이틀만 더 기다렸다가 곧 500원 되면 그때 사 먹어야겠슴!
싸게 사니 좋아 보이지만, 자세히 보면 조금 위험해요. 고슴이뿐만 아니라 사람이나 기업도 같은 마음일 거라, 그게 문제거든요. 소비자는 ‘더 싸지겠지’ 하고 기대하는 마음으로 지갑을 닫고, 투자자는 ‘기업들 물건 잘 안 팔리니 나중에 투자하자’ 하며 투자를 미루면, 시장에 돈이 돌지 않고 꽉 막히게 돼요(a.k.a. 디플레이션). 그럼 고용도 줄 테고, 경제는 힘들어지는 거죠.
지금 그 정돈 아니지? 산유국들 아직도 사이 안 좋아?
아직요. 하지만 발 동동 구르던 미국도, 미국을 저격하던 두 나라도 사정이 급해졌다고.
가장 큰 타격을 입은 미국 💫: 석유 만드는 데 돈이 많이 들던 셰일 가스 기업은 낮은 기름값을 견디지 못해 파산했어요.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&러시아에 전화 걸어 석유 줄이자고 말해보고, 안 줄이면 수입 원유에 관세도 붙일 거라며 으름장도 놓았어요.
기름값 싸져도 자신있다던 러시아 💦: 루블화 가치가 엄청 떨어지면서 푸틴 대통령도 일단 잘 합의해보자고 한 발 물러섰어요.
속 시끄러웠던 사우디 🌩️: 걱정하는 건 마찬가지. 혹시나 석유 공급에 문제가 생길까, 유전을 공격할 위험이 있는 내전도 잠시 워워- 식히고, OPEC+ 회의를 열자고 먼저 나섰어요.
이제 좀 괜찮으려나?
어젯밤에 ‘석유량을 줄여보자!’는 OPEC+* 긴급 회의가 열렸어요. 하지만 석유 생산량을 줄이자고 합의를 해도, 당장 큰 도움이 되진 않을 것 같다는 의견이 대부분. 이미 쌓여 있는 석유가 너무 많아 줄이는 양이 엄청 많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는 것. 곤두박질쳤던 국제유가가 언제쯤 다시 올라올 수 있을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.
|
+ OPEC+* 누구? 석유수출국기구(OPEC)에 속한 13개 나라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모임(+)을 말해요. 미국은 세계에서 1등으로 석유를 많이 만들지만, OPEC이나 OPEC+ 회원은 아니에요. 이번에 사우디는 미국에도 회의에 꼭 참석하라고 했지만, 미국은 안 하겠다고 했어요. 그래서 미국은 이번 OPEC+ 회의에서 정한 것도 꼭 안 따라도 돼요.
+ 기름값이 떨어지는 게 항상 안 좋은 건가? 꼭 그렇진 않아요. 경제 상황에 따라, 기름값이 떨어지는 게 좋을 때도 있다고. 이론적으로 보면, 기름값이 낮아지면 기업은 제품을 싸게 싸게 만들 수 있고, 제품 가격이 싸면 소비가 전체적으로 늘어 경기가 살아날 수 있거든요.
|
고딩때 사회시간에 뭘 배웠던걸까?ㅎㅎ
이런 국제정세?같은 내용은 뉴스에서 봐도 그냥 지나치는 내용인데
뉴닉을 구독하기로 하면서 읽기 시작하니
친절한 뉴닉덕분에 이해가 쏙쏙되네요.
봄이 왔지만, 마냥 못 웃는 사람들이 있어요: 코로나19로 장사 안 되는 사람들, 관광객 올까 봐 꽃밭 갈아엎는 사람들, 그리고 작년 강원도 산불 지역에 남은 사람들.
강원도 산불
작년 4월 4일, 강원도 5개 지역에서 큰 산불이 났어요. 한 전신주의 개폐기(회로를 껐다 켰다 할 수 있는 스위치)에서 폭발하는 소리가 나더니, 순식간에 불이 번진 건데요. 봄이라 날이 건조하고 강풍이 불었던 탓에 피해가 컸다고: 당시 2명이 사망했고, 산림 2823ha(축구장 약 3965개 면적)가 불탔어요. 또, 1542명은 순식간에 집을 잃었고요. 이후 조사 결과, 산불은 개폐기를 관리하던 한국전력공사(한전)의 잘못이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.
그 후로 1년이 지났지만
주민들은 아직도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했어요. 이재민 중 절반 이상이 여전히 조립주택이나 임대주택에서 생활하는 중이거든요. 불타버린 산이 다시 푸르러지는 데도 시간이 걸릴 것 같은데요. 아직 불탄 나무를 잘라내고 있어서(진행률 64%), 씨를 뿌리거나 새로운 나무를 심기까지 3년 정도 더 기다려야 한다고. 다시 숲이 만들어지기 위해서 짧게는 4년, 길게는 21년까지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래요 🌲🌼.
|
+ 한전과의 보상 문제도 얽혀 있어요: 지난 1월, 정부는 이재민들에게 줄 지원금을 한전이 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. 한전은 “우리가 산불 원인을 제공한 건 맞지만, 당시 바람이 많이 부는 등 다른 원인도 있었기 때문에 피해 금액 전부를 내는 건 불합리하다”고 반발했어요. 정부 vs. 한전의 갈등이 계속되어 소송까지 간다면, 배상금을 받는 시기가 늦어질 수 있어 주민들도 걱정이 많은 상황이에요.
+ 강원도 산불을 계기로 소방관의 처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. 지난 4월 1일, 전국 소방관은 국가 소속 공무원이 되었어요. 앞으로 어느 지역에서 일하더라도 비슷한 조건으로, 더 안전하게 일할 수 되었다는 소식에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기뻐했습니다.
|
코로나19는 우리나라 선거뿐만 아니라 🇺🇸 미국 선거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요. 미국은 11월 대선에 나갈 민주당 대표 뽑아야 하는데(경선), 대부분의 지역에서 외출을 제한하고 선거도 미뤄지고 있죠. 하지만 유일하게 선거를 밀어붙여 논란이 된 곳이 있으니, 바로 위스콘신 주.
왜 선거를 밀어붙였을까?
진짜 속내는 모르지만, 일부 사람들은 정치적 목적일 거라 보는 중. 위스콘신 주도 원래는 다른 지역들처럼 선거를 미루기로 했어요. 하지만 보수 성향인 주 의회와 대법원이 연기를 무효로 했죠. 원래 나라 불문하고 투표율이 낮으면 보수 정당(공화당)에 유리하다는 통설은 유명해요. 이대로라면 코로나19 때문에 투표율이 낮을 테니 과하게 밀어붙인 거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 배경이고요. 일부 시민들은 평소 약국도 못 가게 하면서 꼭 그렇게 선거를 치러야 하냐며 항의했고요. 그런데… 비슷한 논란은 11월 대선에도 있을 듯하다고.
대선에서는 왜?
투표소에 사람들이 몰리면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커져서, 우편투표를 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요.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🔴공화당원들은 결사반대 중이고, 🔵민주당은 찬성하고 있어요. 각각 국민들의 생명권과 투표권을 이유로 들고는 있지만, 사실상 누가 투표에 많이 참여하는지가 선거 승리랑 연결되니까 열심히 싸우는 것 아닌가 싶은 달콤씁쓸한 상황이죠.
|
+영국, 폴란드 등 다른 나라는: 폴란드는 5월에 있을 대선을 우편투표로 하기로 했어요. 영국은 지방선거를 1년 미루기로 했고요. 프랑스는 지방선거를 진행하다 투표율이 많이 떨어지자 선거를 무기한 연기했고, 독일도 코로나19가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리기로 했어요.
+트럼프 대통령과 붙을 민주당 후보는: 조 바이든 전 부통령. 민주당의 유력 후보인 샌더스가 중도 사퇴를 했거든요. 슈퍼 화요일 이후 바이든이 앞섰고, 이후 샌더스가 기세를 잡을 각이 안 나왔기 때문. 또, 트럼프가 코로나19에 제대로 대처 못 하는 걸 보면서, 일단 민주당이 힘을 합쳐서 트럼프를 내려오게 해야겠다고 다짐했다고. 하지만 트럼프는 매일 TV에 나와 코로나19 브리핑을 하며 지지율이 역대급으로 높은 반면, 바이든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방콕하며 존재감을 잃고 있어서 지켜봐야 해요.
|
정치적 견해? 관심없으면 모르고 지나칠 내용을 짚어줘요
정치란...어렵군요
20200410 뉴닉뉴스
출처: 뉴닉 stibee.com
|
댓글